구리 전세사기, ‘깡통전세’ 숨기고 계약한 공인중개사 40명 추가 입건

경기 구리 지역 전세사기를 수사 중인 경찰이 ‘깡통전세’ 사실을 숨긴 채 임차인들에게 매물을 중개해온 부동산 공인중개사 40여 명을 추가 입건했다. 이들은 ‘컨설팅 비용’ 명목으로 뒷돈까지 챙긴 것으로 파악됐다.

경기 구리경찰서는 “전세사기 사건과 관련해 구리시 등 수도권 지역에서 활동하는 공인중개사 40여 명을 추가 입건했다”고 26일 밝혔다. 앞서 경찰은 구리시 전세사기 사건과 관련해 임대인 등 20명을 입건했다. 입건된 공인중개사들은 “컨설팅 비용을 받았다”며 혐의를 부인하고 있지만, 경찰은 이들이 법정 수수료율보다 더 높게 수수료를 받아 챙긴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경찰 조사결과 입건된 공인중개사들은 임차인에게 전세 임대차 보증금으로 매매 대금을 지급하는 이른바 ‘깡통전세’라는 사실을 알리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이 사건의 주범이자 건물주인 A씨 등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할 예정이다. A씨 등은 임차인이 계약한 주택을 임차인으로부터 받은 전세보증금으로 매매 대금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구리시에 건물 10여 채, 서울과 인천 등에 수 백 채를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 관계자는 “A씨 소유 건물의 임차인들 중 추가 피해자들이 있을 것으로 보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일보

https://hankookilbo.com/News/Read/A2023042610280002496?did=NA

피프티 피프티, 빌보드 ‘핫 100’ 50위…이러다 일 내겠네!

틱톡에서 입소문 탄 ‘큐피드’ 글로벌 인기 상승세

그룹 피프티 피프티의 글로벌 상승세가 꺾일 줄 모르고 치솟고 있다.

빌보드가 24일(현지시각) 발표한 최신 차트를 보면, 피프티 피프티의 노래 ‘큐피드’는 메인 싱글 차트 ‘핫 100’ 50위에 올랐다. 피프티 피프티가 지난 2월24일 발표한 이 노래는 지난 1일 ‘핫 100’ 차트에 100위로 처음 진입한 이후 2주차 94위, 3주차 85위, 4주차 60위로 꾸준한 상승세를 보여왔다.

데뷔한 지 다섯달밖에 안 된 신인 그룹에게 이처럼 믿기 힘든 일이 벌어진 데는 우선 좋은 멜로디를 갖춘 노래의 힘도 있지만, 쇼트폼 영상 기반의 에스엔에스(SNS) 틱톡의 덕을 봤다는 분석이 나온다. 어느 국외 이용자가 ‘큐피드’ 영문 버전의 프리코러스(후렴구 직전에 나오는 짧은 소절)를 따서 속도를 빠르게 높인 뒤 “2023년 최고의 프리코러스”라는 글과 함께 올린 것이 틱톡 배경음악으로 널리 퍼지면서 큰 인기를 얻었다. 이 음악에 맞춰 춤을 추는 챌린지도 유행했다. 틱톡에서 이를 접한 사람들이 음원 스트리밍으로 원곡을 들으면서 빌보드 성적이 급상승했다는 것이다.

피프티 피프티는 빌보드 ‘글로벌 200’ 차트에서도 9위에 올라 있다. 미국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얻고 있다는 뜻이다. 영국 오피셜 싱글 차트에서도 26위에 올랐다.

피프티 피프티는 최근 미국 대형 음반사 워너레코드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이를 통해 본격적으로 북미 시장에 진출할 것으로 소속사 어트랙트는 기대하고 있다.

한겨레

https://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1089411.html

가정의 달, 서울 도심에 ‘핑크퐁’ 뜬다 … 드론쇼 등 공연

더핑크퐁컴퍼니가 다음 달 4~6일 3일간 서울시청과 광화문광장 일대에서 시민들과 함께하는 ‘서울 핑크퐁 위크’를 개최한다고 26일 밝혔다.

‘서울 핑크퐁 위크’는 가정의 달을 맞아 기획됐으며, ‘광화문 어린이 축제 봄빛소풍’, ‘핑크퐁 키즈 북 페스티벌’ 행사로 나뉘어 진행된다. 2020년 6월 캐릭터 최초로 서울시 홍보대사에 위촉된 핑크퐁, 아기상어뿐 아니라 공개 1년 만에 유튜브 누적 구독자 600만명을 돌파한 베베핀까지 만나볼 수 있다.

4~6일엔 광화문광장 육조마당 일대에서 ‘광화문 어린이 축제 봄빛소풍’이 열린다. KT의 지니TV와 협업으로 키즈랜드 캐릭터들과 함께 참여형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서울 시민들에게 색다른 재미를 선사할 예정이다. 핑크퐁∙아기상어∙베베핀과 함께 즐기는 콘서트 메인무대부터, 더핑크퐁컴퍼니 캐릭터 코스튬을 활용하여 누구나 주인공으로 참여할 수 있는 코스튬 퍼레이드, 국내 애니메이션 최초로 전 세계 12개국 넷플릭스 10위권을 기록한 베베핀 시리즈를 감상할 수 있는 야외 상영회까지 선보인다.

도심 속 대규모 야외 도서관으로 조성되는 ‘책읽는 서울광장’에서는 5~6일 ‘핑크퐁 키즈 북 페스티벌’이 개최된다. 잔디광장에 앉아 책을 읽고 감상을 함 나누는 문화공간을 테마로 ▲9m의 초대형 핑크퐁 포토존·2m의 책 읽는 핑크퐁 및 아기상어 테마존 ▲핑크퐁과 함께하는 마술쇼 및 댄스파티 공연 ▲스토리북 제작 및 색종이 아트 클래스를 마련할 예정이다.

5일 밤에는 ‘2023 한강 불빛 공연(드론 라이트쇼)’에서 핑크퐁과 아기상어를 만나볼 수 있다. 혁신의 도시 서울의 미래를 이끌어갈 어린이의 꿈과 희망을 함께 소원하며, 500여 대의 드론으로 만들어진 핑크퐁과 아기상어가 밤하늘을 수놓을 예정이다.

이외에도 더핑크퐁컴퍼니는 ‘베베핀 하우스’를 컨셉으로 부스를 운영, 풍성한 현장 이벤트를 진행한다. 베베핀과 함께 폴라로이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포토타임’ 등 각종 이벤트가 운영된다.

더핑크퐁컴퍼니 관계자는 “봄기운이 완연한 5월을 맞이해 온 가족이 함께 야외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서울 도심을 중심으로 ‘서울 핑크퐁 위크’ 행사를 개최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서울시와 함께 오프라인 접점을 확대해나가며 가족 단위 시민들에게 다채로운 즐거움을 선사하겠다”고 밝혔다.

조선비즈

https://biz.chosun.com/industry/company/2023/04/26/V4G3L4PPY5A55FLMCZ47WMY3BA/?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배승아 참변 막는다”…스쿨존 음주운전으로 어린이 사망시, ‘최고 징역 26년’

[헤럴드경제=장연주 기자] 초등학생인 배승아(9)양이 대전의 어린이 보호구역(스쿨존)에서 만취 상태 운전자에게 치어 숨진 가운데, 올 7월부터는 스쿨존에서 음주운전을 하다가 어린이를 쳐 숨지게 하면 최고 26년의 징역형에 처해진다.

25일 대법원에 따르면, 양형위원회(위원장 김영란 전 대법관)는 전날 제123차 전체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의 양형기준을 심의·의결했다.

양형위는 스쿨존 교통범죄와 음주·무면허운전 범죄의 양형기준을 각각 새로 설정했다.

기존에는 스쿨존 교통 범죄에 대한 양형기준이 없었지만, 앞으로는 다친 정도가 가벼우면 벌금 300만∼1500만원에 처해지고, 중상해나 난폭운전 등 가중 인자가 있다면 최고 징역 5년까지도 가능하다. 사망했다면 1년6개월∼8년까지 선고된다.

음주운전의 경우에도 혈중 알코올농도에 따른 양형기준을 신설했다.

혈중알코올농도 0.08%, 0.2%를 기준으로 형량이 올라간다.

혈중알코올농도 0.2% 이상 음주운전은 징역 2년6개월∼4년까지 선고할 수 있다. 음주 측정을 거부하면 1년6개월∼4년까지 선고된다.

무면허운전은 벌금 50만∼300만원 또는 최고 징역 10개월까지 선고될 수 있다.

이런 양형기준에 따라 스쿨존에서 만취 운전을 했다가 어린이를 치면 경합범 가중으로 중형이 선고될 수 있게 됐다.

스쿨존 내에서 알코올 농도 0.2% 이상으로 음주운전을 해 어린이를 다치게 하면 최고 징역 10년6개월이 선고된다.

이 상태에서 다친 아이를 옮긴 뒤 뺑소니하면 16년3개월까지 형량이 늘어날 수 있다.

스쿨존 내에서 만취운전을 했다가 어린이를 사망에 이르게 하면 최고 15년형이 선고된다.

사망한 어린이를 두고 뺑소니하면 23년형, 사체를 유기한 뒤 뺑소니하면 26년형까지 각각 선고된다.

양형기준은 판사가 형을 정할 때 참고하는 권고적 성격으로 구속력은 없다. 다만 이에 벗어나는 판결을 할 때는 판결문에 그 이유를 기재해야 한다.

양형기준은 올해 7월1일 기소된 사건부터 적용된다.

앞서 대전 스쿨존에서 만취 상태로 운전하다 배승아(9)양을 치어 숨지게 한 혐의로 검찰에 송치된 전직 공무원 방모(66)씨는 이 기준을 적용받지 않는다.

헤럴드경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2134943?sid=102

‘전세피해 특별법’ 이르면 27일 발의…LH ‘임대 매입 예산’ 확대

전세사기 피해 지원을 위한 특별법안(전세사기특별법)이 이르면 오는 27일 국회에 발의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와 금융위원회, 경찰청 등 관계부처는 특별법 발의 시점에 맞춰 ‘전세사기 피해 종합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다.
국회 ‘전세사기 피해 지원 특별법’ 발의 시점에 맞춰 ‘전세사기 피해 종합대책’ 발표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25일 서울 강서구 화곡동 전세피해지원센터를 찾아 기자들과 만나 “원내 지도부와 야당이 그런 움직임(27일 발의)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그렇게 예상을 하고 있다”며 “전세사기특별법이 발의되는 상황을 대비해 (후속대책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원 장관은 “국회의장이나 원내대표단이 협조만 해준다면 빠르면 이번 주 내에도 (통과가)가능하지 않을까 싶다”며 “발의하자마자 통과시키는 법은 굉장히 이례적인 입법”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런 적이 있었던 적이 없는데, 실무적인 부분 준비 문제로 다음 주로 넘어갈 수는 있겠지만 오래 끌지는 않을 것 같다”며 “정치적 정쟁 때문에 오래 끄는 부분은 염려하지 않아도 되지 않을까 싶다”고 거듭 강조했다.

다만 야당과 일부 피해자대책위원회, 시민단체 등에서 주장하는 ‘선(先) 보상 후(後) 구상 방안’에 대해서는 “그 부분은 논외로 빠지는 정도가 아니라 반대하는 입장”이라며 “사기 피해를 국가가 떠안는 것은 가능하지도 않고 설사 가능하다 하더라도 이는 사기 범죄를 국가가 조장하는 결과가 된다”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보증금을 반환받고 싶은 절박한 마음은 이해하지만 실질적인 만회 방안은 정책을 통해 지원을 해야한다”며 “국가가 회수할 금액이 제로인 채권을 피해자가 요구하는대로 값을 주고 산다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특히 “(선 보상 후 구상안은) 만인의 투쟁과 만인의 갈등을 조장한다. 절대 그 방아쇠를 당겨서는 안 된다”고 거듭 강조했다.

국토부는 특별법 발의 직후 전세사기 관련 후속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원재 국토부 1차관을 중심으로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에서 각론 내용을 놓고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원희룡 “LH 매입임대주택 예산 증액 방침…구리시 전세사기 조사단 급파”원 장관은 전세사기 피해지원 대책 중 하나인 LH(한국토지주택공사)의 매입임대주택 예산 확대 여부에 대해서는 “필요하다면 얼마든지 다시 증액할 수 있다. 재정당국과 얘기가 된 상태”라고 말했다.

특별법에는 LH가 피해 주택을 사들이고 피해자에게 임대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올해 해당 예산은 5조5000억원인데 이는 지난해와 비교해 3조원가량 삭감된 규모다.

이 같은 지적에 원 장관은 “매입임대는 지난해 미집행 잔액이 많이 남아 있다”며 “지난해 정부 예산이 삭감된 것은 다른 임대주택의 품질을 높이는데 쓰인 것”이라고 반박했다.

아울러 원 장관은 경기도 구리시에서 발생한 전세사기 의심 사례와 관련, “실제 피해의 성격이 과연 사기인지 등을 파악하기 위해 실무진을 급파해 기초 실태조사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전날 일부 방송은 서울과 인천 등에서 총 946채를 임대 중인 이른바 ‘빌라왕’ 관련 피해 신고가 경찰에 접수됐다고 보도했다. 경찰은 빌라왕이 경기도 구리시에서도 신축건물 전세 보증금으로 분양대금을 치르는 ‘동시진행’ 수법으로 ‘무자본 갭투자’를 한 것으로 경찰은 의심하고 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이와 관련, 원 장관은 “구리시는 공인중개사 300명이 관여해 수수료 이상의 중개 수수료를 받으면서도 사기 또는 부실한 중개를 했던 정황이 있다”며 “이런 점들에 대해 특히 비중을 두고 조사와 함께 대축을 세우고자 한다”고 말했다.

원 장관은 전세사기와 역전세를 구분해 대응할 것을 관계 기관에 주문했다. 이를 위해 국토부-부동산원-HUG(한국주택도시보증공사)-지방자치단체 등이 연계, 악성임대인 정보 등을 공유하는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가능성을 내비쳤다.

원 장관은 “당장 전세사기 규정을 어떻게 적용할수 있느냐부터가 정해지지 않아서 마음대로 (악성임대인에 대한 처벌을)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서 “‘전세사기’라고 규정했을 때는 국가의무와 절차, 법적 책임 등이 따르는 만큼 관계기관이 통일된 기준을 갖출 수 있도록 데이터가 뒷받침 돼야한다”말했다.

머니투데이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42511434527712

필로폰·펜타닐·대마 18차례 마약혐의 남경필 장남 ‘구속기소’

필로폰 16차례, 펜타닐·대마 각 1차례…최근 가족이 신고

(수원=뉴스1) 유재규 기자 = 필로폰 투약혐의로 체포됐다 석방된 뒤에도 재차 필로폰을 투약한 혐의로 남경필 전 경기도지사의 장남이 재판에 넘겨졌다.

수원지검 형사6부(부장검사 김영남)는 25일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마약, 향정, 대마) 혐의로 남 전 지사의 장남 A씨(32)를 구속기소했다.

검찰에 따르면 A씨는 3월23~30일 경기 용인시 기흥구 소재 거주지와 경기 성남시 분당구 소재 남 전 지사의 가족이 거주하는 주거지에서 총 3차례 걸쳐 필로폰 1.18g을 매수한 뒤, 3차례 투약한 혐의로 기소됐다.

A씨는 SNS을 통해 마약을 구입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A씨는 물건을 구매한 뒤, 전달책이 지정된 장소에 물건을 두면 구매자가 다시 가져가는 이른바 ‘던지기’ 수법을 통해 필로폰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2곳에서 마약투약을 각각 벌인 A씨는 가족의 신고에 의해 현행범으로 검거됐다.

최초 검거 당시, 경찰의 구속영장 신청과 검찰의 청구로 A씨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가 열렸지만 법원은 ‘A씨의 주거지가 일정하고 현재까지 수집된 증거자료와 수사에 임하는 태도 등에 비춰 구속의 사유와 필요성을 인정하기 어렵다’는 취지로 기각했다.

하지만 구속영장 기각으로 석방된 A씨는 30일 재차 마약을 투약해 또다시 검거됐다. 당시 경찰이 조사를 진행하기로 예정했는데 A씨와 연락이 닿지 않자 가족에게 도움을 요청해 가족이 파악하면서 신고했다.

경찰의 재신청 및 검찰의 재청구를 통해 법원은 지난 1일 법원은 ‘범죄소명 및 도주우려가 있다’는 사유로 A씨에 대해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경찰은 A씨를 지난 7일 검찰에 구속송치 했다.

검찰은 A씨의 또다른 마약사건도 각 지역에서 이송받아 병합해 기소했다.

A씨는 경남 창녕군 소재 국립부곡병원에서 마약관련 치료를 받던 중, 2022년 11월26일 펜타닐 50mg를 은박지에 태워 연기를 흡입한 혐의도 있다. 또 2022년 12월~2023년 1월 필로폰을 12차례 투약한 혐의도 받는다.

이보다 앞서 자신의 거주지에서 2022년 7월에 대마 1차례를 흡입하고 같은 해 8월 필로폰을 1차례 투약한 혐의도 있다.

검찰은 16차례 필로폰 투약, 1차례 대마, 1차례 펜타닐 흡입한 A씨에 대한 마약류 중독 진단·입원 치료내역을 분석해 치료·재활과 재범방지를 위한 치료감호도 함께 청구했다.

치료감호란, 마약류 중독자로서 재범의 위험성이 있고 특수한 교육.개선 및 치료가 필요한 사람에 대해 치료감호소에 수용해 최대 2년 간, 치료하는 보호처분이다.

검찰 관계자는 “A씨에 대해 마약류 중독 및 의존성이 인정 된다고 판단해 일반 마약사범보다 법정형을 가중하는 상습 필로폰 투약 혐의를 적용해 구속기소 했다”고 말했다.

A씨는 지난 2018년에도 중국 베이징, 서울 강남구 자택에서 필로폰 투약 및 대마를 흡연한 혐의로 기소돼 징역 3년에 집행유예 4년을 선고받은 바 있다.

지난 3월31일 구속심사에 앞서 용인동부경찰서 유치장에 입감돼 있던 A씨는 법원으로 호송되기 앞서 “피의사실을 인정하느냐”는 취재진의 물음에 “네”라고 짧게 답했다.

뉴스1

https://www.news1.kr/articles/5026389

“고통 없이…” 급증하는 온라인 ‘자살 정보’ 지난해 신고만 23만건

보건복지부 자살유발정보 모니터링
2022년 23만4064건 신고
극단 선택 유발, 성범죄 이어질 가능성

[헤럴드경제=박지영 기자] “고통 없이 죽는 방법. 30만원을 모은다. 숙면 바로 전 XX나 XX를 마신다.”, “경기도 XX시 동반 XX 구함. 여자만.”

온라인 검색으로 1분 만에 볼 수 있는 자살 관련 게시글이다. 자살 암시글은 물론 자살을 하는 방법, 자살·자해 관련 사진이나 동영상 등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무분별하게 온라인을 떠도는 자살 관련 게시글이 극단적 선택을 유발하고 있다. 관련 게시글을 올리는 미성년자에게 접근해 성범죄를 저지르는 등 범죄 발생 우려도 높다.

25일 보건복지부 ‘자살 유발 정보 모니터링 활동 결과’에 따르면 온라인 자살 유해 정보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2018년 3만 2392건이었던 자살 유발 정보는 2019년 3만2588건, 2020년 9만772건, 2021년 14만2725건, 2022년 23만4064건으로 매년 증가 중이다. 보건복지부 모니터링단의 활동이 증가하며 관련 신고가 늘어난 효과도 있지만, 그만큼 온라인에 자살 유발 정보가 횡행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지난해 신고된 자살 유발 정보를 유형별로 분석하면 자살 관련 사진·동영상이 12만2442건(52.3%)으로 절반 이상이다. 실제 온라인에는 지난 16일 서울시 강남구 빌딩에서 투신한 10대 여학생 A양의 동영상은 물론 지난 13일 일본 여고생 2명이 동반 투신한 동영상도 유포되고 있다. 그 뒤를 자살 위해(危害) 물건 판매·활용 4만1210건(17.6%), 자살 동반자 모집 1만8889건(8.1%), 구체적 자살 방법 6070건(2.6%), 영상 콘텐츠 4300건(1.8%), 기타 4만 1153건(17.6%)이 잇는다.

자살 암시글을 올리거나 우울감을 호소하는 미성년자를 상대로 한 범죄도 일어나고 있다. 아동·청소년 단체 탁틴내일의 이현숙 대표는 “트위터 우울증 계정을 운영하거나 우울증 관련 커뮤니티를 이용하는 미성년자에게 접근해 친밀감을 쌓은 뒤 성폭력을 저지르는 사례는 꾸준히 있어왔다”며 “온라인 에서 일어나는 그루밍 범죄는 성 착취가 일어나기 전까지 의도를 구분하기 쉽지 않고 일대일 대화 방식으로 이뤄져 모니터링이 어렵다”고 말했다.

청소년 자살 문제를 온라인 범죄라는 관점에서 접근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는 “디지털 성범죄물을 인공지능(AI)으로 잡아내는 것처럼 자살 유발 정보도 적극적으로 수집해 대응해야 한다”며 “온라인 커뮤니티를 차단할 수 없다면 운영자에게 책임을 지워야 한다. 보건복지부와 방송통신심의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유관 기관과 사이트 운영자 등 모두 예방을 고민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도 온라인 자살 정보 유행성이 심각하다고 판단해 대응에 나섰다. 경찰은 최근 A양 사망 사건 배경으로 지목된 디시인사이드 우울증갤러리 수사를 위해 TF를 꾸렸다. 서울경찰청 여성청소년과, 형사과, 사이버수사과 등이 합동으로 청소년 자살 예방 규정 위반 정황 등을 검토 중이다.

헤럴드경제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30425000217

포드코리아, 더 강력해진 픽업트럭 ‘레인저 랩터’ 출시… 7990만원

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아(포드코리아)가 넥스트 제너레이션 포드 레인저 ‘랩터’를 24일 출시했다. 레인저 기본형을 바탕으로 오프로드 성능을 강화한 게 특징.

고강도 프레임을 바탕으로 제작된 레인저 랩터는 2.0ℓ 바이터보 디젤엔진과 10단 자동변속기가 맞물려 최고출력 210마력, 최대토크 51kgm의 성능을 발휘한다. 복합연비는 ℓ당 9.0km다.

주행모드는 총 7가지다. 온로드를 위한 노멀, 스포츠, 슬리퍼리와 오프로드와 험로 주행에 특화된 바하(Baja), 락 크롤(Rock Crawl), 샌드(Sand), 머드/러츠(Mud/Ruts)로 나뉜다.

특히 바하 모드와 락 크롤 모드는 랩터의 오프로드 주행능력을 강화한다. 바하 모드는 오프로드 고속 주행용, 락 크롤 모드는 바위 등으로 이뤄진 심한 경사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다. 오프로드 주행 시 유용한 리어 디퍼렌셜 락킹 기능은 물론 폭스 쇼크 업소버 서스펜션을 탑재해 더욱 안정적인 오프로드 주행을 돕는다.

레인저 랩터는 다양한 사용 목적에 부합하는 실용적인 내외부를 갖추고 있다. 전면 디자인에서는 시그니처 C-클램프 헤드라이트와 레인저 최초의 매트릭스 LED 헤드라이트, 랩터에만 장착되는 웅장한 ‘FORD’ 레터링을 탑재했다. 올 웨더 매트, 본넷 프로텍터 등 레인저를 위한 액세서리로 개성도 살릴 수 있다.

뱅앤올룹슨(B&O) 오디오시스템과 함께 포드의 시그니처 싱크4 시스템은 탑승객이 다양한 콘텐츠를 즐기는 데 도움을 준다.

레인저는 포드자동차의 대표적인 중형 픽업트럭으로 현재 전 세계 180여개 국가에서 판매되고 있다.

넥스트 제너레이션 레인저 랩터는 5월부터 고객 인도가 시작되며 부가세 포함 가격은 7990만원이다.

MoneyS

https://moneys.mt.co.kr/news/mwView.php?no=2023042414102714215

지난 1분기 건설노동자 55명 사망… 100대 건설사 현장에서도 7명 숨졌다

지난 1분기 전국 건설현장 사망자는 55명으로 집계됐다. 시공능력평가 상위 100대 건설사 현장에서도 여전히 건설노동자가 떨어지거나 부딪혀 숨지는 사고가 이어졌다.

24일 국토교통부가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CSI)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 1분기 건설현장 사망자는 총 55명으로, 이중 100대 건설사 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자는 7명이었다. 이는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는 7명 감소한 수치다.

사망사고를 낸 상위 100대 건설사는 총 7곳으로, 롯데건설, 서희건설, 중흥건설, 대보건설, 성도이엔지, 대원, 요진건설산업 등에서 각각 1명의 사망자가 나왔다. 시공능력평가 10위권 내의 대기업에서는 롯데건설(8위)이 유일하게 이름을 올렸다.

공공공사가 발주한 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자는 12개 기관 14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3명이 늘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서는 떨어짐 사고 2건, 물체에 맞음 사고 1건으로 총 3명의 노동자가 숨지며, 전체 공공공사 중 가장 많은 사망자를 냈다.

민간공사에서 발생한 사망자는 41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4명 줄었다. 사망자가 가장 많았던 인·허가 기관은 인천광역시경제자유구역청, 충남 천안시가 각 3명으로 가장 많았다.

국토부는 사망 사고가 발생한 대형건설사와 하도급사에 대해 대해 불시에 관계기간 합동 특별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다. 위법 사항이 발견될 경우 부실벌점 부과 등 강력조치하겠다고도 했다.

경향신문

https://www.khan.co.kr/economy/real_estate/article/202304241402001

현대차·기아·제네시스 ‘레드 닷·카 디자인 어워드’ 부문별 5개 수상

현대차 신형 그랜저, 도심형 E-Pit 초고속 충전기 각 부문서 본상 획득
기아 니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제네시스 G90도 본상

현대자동차·기아·제네시스가 세계적인 디자인 상인 ‘레드 닷 어워드’와 ‘카 디자인 어워드’에서 총 5개의 상을 수상했다.

현대차그룹은 독일 노르트라인 베스트팔렌 디자인센터가 주관하는 ‘2023 레드 닷 어워드: 제품 디자인’에서 총 4개의 제품이 본상을 수상했다고 24일 밝혔다.

현대자동차는 디 올 뉴 그랜저가 ‘수송 디자인’ 부문에서, E-pit 초고속 충전기가 ‘도시 디자인’ 부문에서 각각 본상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현대차가 지난 11월 출시한 디 올 뉴 그랜저는 헤리티지를 기반으로 미래 모빌리티의 대전환을 표현하는 특별한 디자인 감성을 가미해 완성됐다.

‘끊김없이 연결된 수평형 LED 램프'(심리스 호라이즌 램프)로 미래지향적이고 웅장한 외관 존재감을 강조했으며, 탑승자를 편안하게 감싸는 ‘랩 어라운드’ 구조의 실내공간으로 과거 그랜저를 현대적 감각으로 계승하면서 플래그십 세단의 이미지를 잘 구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E-pit 초고속 충전기는 ‘인간 중심’을 테마로 고객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디자인 솔루션을 높이 평가받아 지난 ‘2021 레드 닷 어워드’ 본상 수상에 이어 다시 한번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이번에 수상한 도심형 E-pit 초고속 충전기는 기존 E-pit 대비 소형화된 디자인으로 도심의 도로주변, 주거지의 지상 및 지하 주차장 등 다양한 도시환경에 조화롭게 어울릴 수 있는 디자인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기아는 니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가 레드 닷 어워드 수송 디자인 부문에서 본상을 수상했다.

니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상반된 개념의 창의적 융합을 의미하는 기아의 브랜드 디자인 철학 ‘오퍼짓 유나이티드’가 적용돼 창의적이며 세련된 디자인을 완성함과 동시에 친환경 디자인과 소재를 접목한 독창성을 인정받았다.

제네시스의 브랜드 플래그십 모델인 G90도 ‘역동적인 우아함’이라는 제네시스의 디자인 정체성이 반영된 품격있는 외관으로 같은 부문에서 본상을 받았다.

이와 함께 제네시스는 브랜드 최초의 컨버터블 콘셉트인 ‘엑스(X) 컨버터블’이 이탈리아의 자동차 및 산업디자인 전문지 ‘오토 앤드 디자인’에서 주최하는 ‘카 디자인 어워드 2023’에서 ‘올해의 콘셉트카’로 선정되며 디자인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엑스 컨버터블은 지붕이 여닫히는 컨버터블과 소음이 적은 전기차의 특성을 활용해 ‘자연 환경과 교감하는 운전자 경험’이라는 제네시스의 전기차 디자인 방향성을 담았으며, 적재적소에 배치된 깔끔한 선과 절묘한 곡선이 만들어내는 정제된 고급스러움이 돋보인다.

현대자동차그룹 관계자는 “이번 수상은 세계 최고 수준의 디자인 경쟁력을 현실화하기 위한 디자이너와 엔지니어의 열정과 노력에서 비롯된 결과다”며 앞으로도 미래 모빌리티의 차별화된 디자인을 선보여 고객에게 새로운 경험과 가치를 제공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레드 닷 디자인 어워드’는 독일의 iF 디자인 어워드, 미국의 IDEA와 함께 세계적 권위의 디자인 어워드 중 하나로 꼽힌다. 매년 제품 디자인 부문,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부문, 컨셉 디자인 부문으로 나눠 디자인의 혁신성과 기능성 등 다양한 핵심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각 분야별 수상작을 결정한다.

더팩트

http://news.tf.co.kr/read/economy/2013610.htm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