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MG, 일본서 ‘캐치! 티니핑’ 12월 첫 방영…키즈스테이션과 ‘맞손’

‘마스터 라이선스’ 계약 체결…16개 이상 채널 순차 공개 예정
애니메이션·완구 日시장 동시 진출은 ‘국내 최초’

(서울=뉴스1) 신윤하 기자 = 국내를 넘어 해외에서도 인기를 얻고 있는 3D 애니메이션 시리즈 ‘캐치! 티니핑’이 세계적인 미디어 그룹 소니픽처스 엔터테인먼트 산하 키즈스테이션 채널을 통해 일본에서 방영된다.

에스에이엠지엔터테인먼트는 내달 3일 자사의 인기 애니메이션 ‘캐치! 티니핑’을 소니픽처스 산하의 일본의 키즈·애니메이션 전문 채널인 키즈스테이션에서 첫 방영한다고 8일 밝혔다.

키즈스테이션은 올해 9월 기준 일본 내 727만여 가구가 시청하고 있는 일본 톱 티어 어린이 애니메이션 전문 채널로 포켓몬스터와 호빵맨 등 글로벌 인기 키즈 콘텐츠를 방영하고 있다. 이번 방영을 시작으로 SAMG는 일본 현지 지역별 지상파를 비롯한 16개 이상의 채널에서 캐치! 티니핑을 순차적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SAMG는 키즈스테이션과 캐치! 티니핑 IP에 대한 마스터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고 애니메이션 론칭을 비롯해 IP를 활용한 일본 키즈 콘텐츠 시장 내 전략적 사업 전개에 나선다. 키즈스테이션은 캐치! 티니핑 관련 콘텐츠 배급과 완구 유통-판매 등 일본 내 모든 지식재산권(IP) 권한을 일임 받아 사업을 집행하게 된다. 국내 인기 콘텐츠의 애니메이션과 완구가 일본 시장에 동시에 진출하는 것은 이번이 국내 최초 사례다.

SAMG는 매 시즌 다양하고 새로운 캐릭터들이 등장하는 캐치! 티니핑의 콘텐츠 경쟁력을 활용해 일본 전역에 팬덤을 형성하고 팬덤 기반 비즈니스 모델을 하나씩 세워 실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사사키 아키라 키즈스테이션 대표는 “SAMG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한국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캐치! 티니핑’ 애니메이션을 일본에서 최초로 소개할 수 있게 돼 매우 기쁘다”며 “키즈스테이션은 캐치! 티니핑 애니메이션 방송을 시작으로 캐치! 티니핑 IP를 활용한 다양한 분야의 라이선스 사업을 활발히 펼쳐나갈 준비를 마쳤다”고 말했다.

김수훈 SAMG 대표는 “포켓몬스터, 스튜디오 지브리 시리즈, 귀멸의 칼날 등 전세계인의 사랑을 받은 애니메이션의 발원지 일본에 국산 애니메이션 IP가 진출한다는 것은 기념비적인 일”이라며 “매 시즌마다 다양하고 귀여운 캐릭터가 등장하는 캐치! 티니핑은 일본 애니메이션-완구 시장에서 커다란 경쟁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SAMG는 일본 첫 방영을 한 달 앞둔 시점부터 자사 유튜브 채널을 통해 캐치! 티니핑 일본어 티저를 순차적으로 공개할 계획이다.

출처 뉴스1

https://www.news1.kr/articles/4857242

허가 미뤄졌던 신한울원전 올겨울 본격 가동 눈앞에

울진 신한울 1·2호기 가보니
내달 6년만에 1호기 준공

신한울 1·2호기가 연내 본격 가동에 들어가며 국내 전력 수급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12월에는 1호기 상업운전이 시작되고, 2호기도 전력 생산을 위한 허가 절차가 진행된다. 7일 한국수력원자력과 원자력안전위원회 등에 따르면 한수원은 12월 첫째주께 신한울 1호기 준공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현재도 신한울 1호기에 핵연료가 장전된 상태로, 계통 연결을 통해 일부 전력은 공급하고 있다. 한수원은 이번 준공식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신한울 1호기에 대한 상업운전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한수원 관계자는 “현재 신한울 1호기에 대한 간이 정비 절차를 진행하고 있는데 오는 17일쯤이면 끝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후 계통 연결을 하면 준공식 전에도 일정 부분 송전은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한울 2호기에 대한 운영허가 절차도 본격 진행된다. 지난 4일 부문별로 문제가 없는지 전문기술별로 심사하는 전문위원회 심사가 시작됐다. 큰 문제가 없으면 원안위 전체회의에 상정돼 운영허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다만 신한울 2호기가 허가를 받기까지 소요되는 기간은 1호기에 비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1호기와 2호기가 동일하게 설계됐고, 이미 1호기에 대해 한 차례 꼼꼼하게 심사를 거쳤기 때문이다. 1호기는 2015년 운영허가 심사 절차에 돌입했으나 2021년 7월에서야 운영허가를 받았다.

조정아 원안위 안전정책국장은 “신한울 1호기에 대한 운영허가 경험을 토대로 신한울 2호기 운영허가도 철저하고 꼼꼼하게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원안위는 지난 3일 경북 울진 신한울 1·2호기 현장을 언론에 공개했다. 민간인에게 신한울 원전 내부를 공개한 것은 처음이다.

발전소 측은 지진이나 해일 등 사고에 대비해 이중·삼중으로 안전장치를 강화했다고 강조했다. 주제어실에는 별도 전력으로 작동하는 안전제어반을 갖췄다. 비상디젤발전기도 원전 내부에 설치해 다른 전력이 가동되지 않을 때에도 원전 가동을 중지할 수 있도록 했다.

출처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economy/10519989

‘이태원 참사’ 사망자 정부지원금, 156명 중 48명 지급

[세종=뉴시스] 변해정 오제일 기자 = 이태원 압사 참사로 숨진 156명 중 109명의 유가족 측이 정부지원금 지급 신청을 접수했다. 이 중 48명에 대해서만 지급이 이뤄졌다.

행정안전부가 7일 밝힌 이태원 사고 중앙재난대책안전본부 브리핑 서면 답변에 따르면 지난 6일까지 사망자 156명 중 109명의 유족으로부터 정부지원금 신청을 접수 받았다. 내국인 94명, 외국인 15명이다.

이 가운데 48명에 대해 지급이 완료됐다. 신청 접수한 외국인 전원(15명)에게는 지급이 마무리됐고 내국인 중에서는 33명만 지급된 상태다.

행안부 복구지원과 관계자는 “지자체를 통해 접수받은 피해 신고는 총 109명이며 이 중 구호금 및 장례비는 48명에 지급됐다”며 “피해 신고는 됐지만 아직 지급되지 않은 건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예비비 승인 요청 등 예산을 확보 중이거나 지급을 위해 행정절차를 진행 중에 있다”고 말했다.

이날 오전 11시 기준 이태원 참사 사상자는 총 353명이다. 사망자는 외국인 26명을 포함해 총 156명, 부상자는 중상자 33명을 포함해 총 197명이다.

행안부는 당초 10월30일부터 11월8일까지인 이태원 사고 피해신고 접수 기간을 11월15일까지로 7일 연장했다.

이날 오후 4시에는 행안부 재난복구정책관이 주재하고 17개 시·도 사회재난 국·과장이 참여하는 회의를 열어 사상자 신고 접수 및 지원금 선지급 추진사항을 점검했다. 정부지원금으로는 내·외국인 동일하게 사망자의 경우 장례비 최대 1500만원을 준다. 위로금 성격의 구호금은 사망자 2000만원, 부상자는 장애 정도에 따라 500만~1000만원이다.

정부는 사망자의 유족과 부상자들이 향후 정부나 지자체에 책임을 묻는 민·형사 소송을 진행할 때 정부지원금 수령으로 인한 불이익은 없다고 거듭 밝혔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상 지급된 지원금은 피해 주민의 생계 안정 등을 위한 것으로 ‘국가배상법’에 따른 배상책임과는 다르다는 것이다. 사회재난 피해신고서에는 국가배상을 제한하는 화해간주 또는 부제소 특약이 포함되지 않는다는 게 행안부 측 설명이다.

김성호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지난 1일 중대본 브리핑에서 “저희가 지급하는 구호금과 장례비·치료비 등은 법에 정해진 근거와 기준에 따라 지급하는 것이어서 민·형사상 재판에 영향이 전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변해정 기자(hjpyun@newsis.com)오제일 기자(kafka@newsis.com)

출처 뉴시스

https://newsis.com/view/?id=NISX20221107_0002076748&cID=10301&pID=10300

하나투어, 전 세계 골프 여행 기획전 ‘골프 홀리데이’ 오픈

[데일리안 = 이나영 기자] 하나투어는 다가오는 22-23윈터 시즌 골프 여행을 미리 준비하는 고객들을 위해 전 세계 골프 여행 특가 기획전 ‘골프 홀리데이’를 오픈했다고 7일 밝혔다.

관광과 골프,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이색적인 골프 여행 패키지와 얼리버드 특전, 할인 혜택 등을 선보인다.

치앙마이,다낭,괌,하와이 같은 대표적인 골프 여행지를 비롯해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튀르키예, 일본 등 세계 각국의 골프 여행 상품을 한 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골프와 숙식을 한 번에 해결하는 골프텔 ▲매일매일 다른 골프장에서 색다른 라운딩을 즐기는 다색골프 상품 등 라운딩과 현지 관광을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상품을 마련했다.

이 기획전을 통해 90일·60일·30일 전 얼리버드 예약 시 각 9·6·3만원 할인 혜택을 누릴 수 있으며, 3조 이상 단체 예약 고객에게 클럽 중식, 발 마사지, 룸당 과일바구니, 와인 등을 다다익선 특선으로 제공한다.

특히 골프 홀리데이 기획전의 치앙마이 상품의 경우 11월부터 다양한 항공사를 통해 매일 출발이 가능하며, 2022년 12월22일부터 2023년 2월26일까지는 하나투어에서 확보한 대한항공 좌석을 이용해 무조건 출발 가능한 상품이 운영된다.

하나투어 관계자는 “국내 골프 인구 증가와 동계 골프 여행 수요에 발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22-23윈터 시즌 얼리버드 기획전을 준비했다”며 “올겨울 하나투어와 함께 전 세계 골프 여행지에서 따뜻한 라운딩을 즐겨보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출처 데일리안

https://www.dailian.co.kr/news/view/1170602/?sc=Naver

‘최강야구’ 이승엽 바통 ‘야신’ 김성근 감독이 이어받는다

한때 ‘야신’(야구의 신)으로 불렸던 김성근 감독이 JTBC 스포츠 예능 ‘최강야구’의 2대 감독이 됐다.

JTBC 측은 7일 김 감독이 1대 감독인 이승엽 감독의 바통을 이어받는다고 밝혔다. ‘최강야구’의 최강 몬스터즈 팀원 가운데 박용택, 정근우, 심수창 등은 김 감독과 프로 시절 같이 호흡을 맞췄던 선수들이다. 이들이 다시 만나면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지 기대가 모이고 있다.

김 감독은 OB베어스 투수코치, 감독으로 한국 프로야구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태평양 돌핀스, 삼성 라이온즈, 쌍방울 레이더스, LG트윈스, SK와이번스, 한화 이글스 등을 이끌어왔다. 2002년 LG트윈스 준우승, 2007년부터 2010년까지 SK와이번스의 우승과 준우승을 만들어내면서 ‘야신’이랑 별칭을 얻었다.

야구계 안팎에서 인정받는 지도자였으나 지난 2015년 한화 이글스를 이끌면서 그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많았다. 최근까지는 일본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감독 고문을 지내다가 지난달 은퇴를 선언했다. 은퇴 한달여 만에 전임인 이 감독이 지난달 두산 베어스의 감독으로 선임되면서 최강 몬스터즈를 이끌게 됐다. ‘최강야구’는 사상 최강의 야구팀을 목표로 프로야구팀에 대적할만한 치열한 승부를 보여주는 스포츠 예능이다. 지난 6월 6일 첫 방영된 후 2~3% 시청률을 유지하고 있다.

출처 국민일보

https://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7645407&code=61171111&cp=nv

“호화청사 팔아라” 대통령 지시에… 공기업 용산·강남 건물·부지 매물로

기재부, 곧 공운위 열고 자산 매각 계획 확정
코레일, “6조원 상당 용산역세권 부지 팔 것”
LH, “4600억 상당 경기지역본부 사옥 매각”

서울 용산과 강남 등 알짜 지역에 있는 공공기관 소유 건물과 토지가 대거 매물로 나올 예정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6월 “공공기관 호화 청사를 과감히 매각하라”고 지시한 지 4개월여 만이다.

기획재정부는 이르면 이번 주 공공기관운영위원회를 열고 공공기관 자산 효율화 계획을 확정할 것으로 7일 알려졌다. 공기업·준정부기관을 비롯한 주요 공공기관들은 지난 7월 기재부가 제시한 공공기관 혁신 가이드라인에 따라 자산 효율화 방안을 마련해 정부에 제출했다. 정부는 기관의 고유기능과 연관성이 낮은 토지·건물, 콘도·골프 회원권 등 과도한 직원 복리후생 용도의 자산, 사업계획 변경·지연 등으로 2년 이상 미사용 중인 유휴자산, 본사 소재지 인근에서 운영 중인 숙소·사택 등을 매각 대상 자산으로 분류했다.

공기업 중에서 가장 경영실적이 미흡한 기관으로 꼽히는 한국철도공사(코레일)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마사회는 강도 높은 자산 구조조정을 통해 경영실적을 개선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앞서 코레일은 지난해 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에서 공기업 중 유일하게 E등급(아주 미흡)을 받았고, LH와 마사회도 2년 연속 D등급(미흡)을 받아 기관장 해임 건의 대상에 올랐다.

코레일은 서울 용산역, 서울역북부, 광운대역, 수색역 역세권 등 8조 6171억원 규모의 부지 10곳을 매각하겠다고 정부에 보고했다. 매각 예정가가 6조 3146억원에 달하는 용산역세권 부지는 내년이나 내후년까지 매각을 완료할 계획이다. 서울역북부(5326억원)와 광운대역(4978억원) 역세권 부지는 올해 하반기 중에, 수색역(9724억원) 역세권 부지는 2026년 하반기 중에 매각하기로 했다.

LH는 경기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경기지역본부 사옥을 2025년 하반기에 매물로 내놓을 계획이다. 면적은 7만 2000㎡, 매각 예정가는 4600억원이다. 마사회도 서울 용산구 사옥(1만 8213㎡)을 2025년 하반기에 판다. 마사회가 사용하는 건물 고층부의 매각가는 981억원으로 예상된다. 2011년 장외발매소를 지으려다 사업이 취소돼 유휴부지로 남아 있는 서울 서초구의 토지 1400㎡(1385억원)도 2024년 하반기에 매각하기로 했다.

한국지역난방공사는 서울 강남구 수서동 열원 부지 6600㎡(500억원)를 2025년 하반기에 매각한다. IBK기업은행은 서울 장위동·쌍문역·수유동지점과 경기 수지·성남IT지점, 대구 수성트럼프월드지점 등 6개 지점을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출처 서울신문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21107500188&wlog_tag3=naver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