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동금리? 고정금리? 뭐가 나을까
14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2월 말 주택담보대출 잔액 기준 고정금리 비중은 65.7%로, 2022년 12월 50.8%로 절반을 넘긴 이후 꾸준히 높아지고 있습니다. 반면 같은 기간 변동금리 비중은 49.2%에서 34.3%까지 줄었습니다.
고정금리는 만기 내내 처음 정한 금리가 적용됩니다. 변동금리는 6개월마다 금리가 바뀌고, 혼합금리는 5년간 고정금리 적용 이후 변동금리로 전환되는 상품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기준금리 하락기에는 변동금리 상품의 금리가 고정금리보다 저렴해 인기가 많고, 기준금리 인상기에는 금리가 고정되는 고정금리의 선호도가 높습니다.
그동안 금리 변동성을 줄이려고 하는 소비자들에게는 5년간 고정금리 적용 후 변동금리로 전환되는 혼합금리가 중요한 선택지로 작용해 왔습니다. 고정과 변동 사이에서 고민하는 소비자들에게 최선의 선택인 셈이었습니다.
이런 이유로 혼합금리 상품이 많았는데, 당국이 지난해 순수 고정금리 비중을 높이라고 지도를 하면서 은행들은 순수 고정금리 취급 비중을 늘리고 있습니다. 당분간 지금 같은 상황이 지속된다면 변동금리보다 고정금리가 더 저렴할 수 있다는 것이 은행권 관계자들의 설명입니다. 은행이 당국 지침에 따라 변동금리 가산금리를 높이면서 고정금리를 더 저렴하게 내놓을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입니다.
주택구입 및 생활안정자금, 전세퇴거자금 등 계획이 있는 분들은 변동금리 고정금리 흐름을 정확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시중 은행 보험사 주택담보 생활안정자금대출 최저 금리 비교
모기지투데이에서 2025년 4월 14(월) 국민은행 주택담보생활안정자금대출 금리 4.23% 등 시중 은행 보험사 주택구입자금대출 생활안정자금대출 전세퇴거자금대출 대환대출 등 주택담보대출 최저 금리를 비교해드립니다. LTV DSR 스트레스DSR 규제 등 보다 자세한 사항이 궁금하다면 카카오톡 및 전화 무료 상담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buzzko/223832476228
http://pf.kakao.com/_YnXxos/chat